JQ소개

제주특별자치도우수제품품질인증은 제주의 우수 생산품에 대해 제주특별자치도가 인증하는 품질인증입니다

> JQ소개 >

도입목적 및 배경

도입목적 및 배경

제주제품인증 기준 목적

제주산 원료사용 및 제주특별자치도내에서 생산되는 우수한 생산품에 대하여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그 품질을 인증하고 통합상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데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상품에 대한 이미지 제고로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국내외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품질 및 가격 차별화를 도모함.

국내 제품인증 기준의 현황

국내 제품인증기준은 1962년 제정된 표준규격 KS마크를 통해 시작되었으며, 산업의 표준화와 소비자 보호를 목적으로 시작되었음.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내 제품품질인증은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와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변화되었으며, 국가 산업표준이 실시되면서 국내산업의 품질 표준이 요구되었음.

생물산업의 특성상 제품 표준화가 어려운 농산물, 수산물 및 축산물에 대한 국가 표준 규격이 제정되기 시작함.

1990년대이후에는 환경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품의 안전성이 강조되었음.

사회적으로 웰빙(Well-being)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1차 산업제품에 대해서는 친환경 농수산물 제도, 유기 농산물 및 유기 수산물 인증이 시작되었음.

2000년대이후 제정된 농산물 표준규격, 수산물 표준규격, 전통식품 표준 규격 및 축산물 등급판정의방법·기준이 대표적인 사례임.

제품의 품질과 제품 생산 환경의 안전이 강조되어 제품의 오염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품 인증 기준이 강화되기 시작하였음.

2010년대이후에는 기존제품의 품질과 친환경에 대한 요구뿐만 아니라 제품생산을 하는 기업의사회적 공헌 활동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음.

국가 간의 1차 산업의 국가 간 거래가 증가하고 유전자 기술개발에 따른 농수산물 이력제, 유전자 변형표시제, 지리적 표시 등록제 등이 시작됨.

제주제품인증 기준 목적

  • 제주에서 생산되는 제품 인지도 제고
  • 기존 인증시스템 정비
  • 2차산업 아우르는 신규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관광객 증가와 제주 제품 매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 연계